컨텐츠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2. 쌀이야기
  3. 백미

백미

백미, 밥상 위의 테러리스트

  • 쌀눈과 쌀겨를 깎여나간 백미는 탄수화물 덩어리입니다.
    백미는 쌀의 풍부한 영양분의 95퍼센트가 없어진 무늬만 쌀입니다. 성인 1인이 백미밥 200g을 먹는 것은 결국 설탕 140g을 먹는 것과 같습니다.
    밥을 드십니까? 설탕을 드십니까?
    백미는 비타민 B와 효소 등 주요 영양소의 결핍 때문에서 탄수화물이 포도당으로 전화되는 것을 막아 탄수화물이 체내에 지방으로 축적되게 합니다. 또한 도정 직후 pH 7.0~7.5 정도의 약 알칼리성이었던 쌀은 백미로 정미하면서 pH 5.0~5.5의 산성으로 변질됩니다.

백미가 해로운 이유

  • 1. 비타민 B 결핍으로 체내에서 완전히 연소가 되지 않아 노폐물을 다량 만들고 혈액을 산독화시킨다.
  • 2. 백미는 점도가 강해서 소화될 때 위장에 큰 부담을 준다.
  • 3. 칼슘과 인의 비율이 1:25로 과량의 인 때문에 몸이 산성화된다.
  • 4. 섬유질이 거의 없어 변비에 걸리기 쉬우며 몸밖으로 잘 배출되지 않아 몸속에 노폐물을 다량 생성하고 축적시킨다.
  • 5. 백미밥은 위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위 압박감과 위장병의 원인이 된다.
  • 6. 현미밥에 비해 과식하기가 쉬어 위확장, 위하수, 비만의 원인이 된다.
  • 7. 백미는 혈당값의 상승이 빠르므로 지나친 인슐린의 분비를 가져오고 저혈당이 될 위험이 크다

왜, 언제부터 백미를 먹게 되었나?

  • 일본 식민시대에 도입된 도정기술로 쉽게 변질되는 현미에 비해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백미 중심의 도정체계가 정착되고 백미 소비문화가 대세를 이루게 됐습니다. 식량자급을 최우선으로 삼았던 근대화로 배고픔을 벗어났지만, 국민건강상의 문제가 심각해질 것을 우려한 정부는 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7분도 먹기 운동을 벌였지만 실패했습니다. 하얀 흰쌀밥이 빈곤탈피의 상징으로 여겨진 시대적 분위기와, 밥맛이 거친 현미에 비해 백미의 부드러운 맛 때문에 백미 소비가 우리 식생활의 주요한 형태가 됐습니다.